![]() |
![]() |
![]() |
![]() |
![]() |
학점은행제 학사 학위과정 |
학점은행제 전문학사 학위과정 |
농림축산식품부 aT / 한식진흥원 |
중소기업청 교육청 외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
외식경영학 식품조리학 |
호텔조리 호텔제과제빵 관광식음료 |
외식전문인력 양성기관 외식지도사 양성과정 해외한식당종사자 교육 해외한식당컨설팅 교육 |
소상공인창업학교 학교급식조리종사자교육 |
국가기간전략사업 훈련과정 계좌제 / 재직자 과정 일반고 특화과정 (조리, 제과제빵) |
사물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 및 각종 첨단 제어기술이 적용된 최첨단 주방을 의미합니다. 스스로 꺼지는 가스레인지, 유통기한을 알려주는 냉장고 등 유용하고 편리한 서비스가 곧 상용화 됩니다.
농업(agricultur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된 분야이고 어그테크를 통해 농업 생산량과 농산물 품질이 향상. 농업 지역 데이터를 분석해 농장 수익성을 높이는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여 농장 업무를 최적화, 드론이나 로봇을 활용하여 인력을 최소화
미래 식량난을 해소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푸드사이언스는 사람에게 건강하고 환경에 무해한 식품을 개발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파우더 형태의 식사 대용 식품이나 식용곤충, 인공고기 등이 대표적인 예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요리법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며, 유명인의 레시피나 체중 조절을 위한 레시피 등을 사람에게 제공합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서비스이며, 종이 식권 발행 비용을 줄여주는 모바일 식권 서비스 등이 O2O 서비스에 해당됩니다.O2O서비스는 모바일로 미리 결제하고 매장에 방문하여 제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푸드 딜리버리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분야이며, 스마트폰 등장, 코로나 이후 주문 방식과 이용율이 급변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조리된 음식 뿐만 아니라 식재료까지도 배송해주는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새벽 아침마다 식재료를 문 앞에서 받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30 외식
푸드테크 플랫폼 NO 1
섬김(Serving)
나눔(Sharing)
학교가 현장, 현장이 학교인
푸드테크 융합 외식산업
실용인재 양성
일어나 빛을 발하라!
Jumping Together 2030!